컴퓨터

오인페의 snr 과 thd에 대해서

진또모리 2021. 9. 11. 17:07

기본 스펙따지고

snr과 thd도 따지고

 

snr은 높을수록 좋고

thd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음원을 풍성하게 들려줄 잭을 꼽을수 있는지 여부와

그 잭을 꼽을시 오인페에서 어디까지 그 잭의 성능을 뽑아줄수 있는지

이런것들을 따지면 됩니다.

상세 스펙들은 우리나라제품들보다 해외쇼핑몰들 보면 정말 자세하게 스펙 나와있어서 다 확인 할 수 있구요.

해외 쇼핑몰들 보면서 snr이 thd인가 싶었지만 공식이 전혀 다르더라구여. snr은 신호대잡음비이고 thd는 왜곡률입니다.

신호대 잡음비.. 왠지 낮을수록 좋을거같지만 클수록 깨끗하고 맑은 소리가 난다고합니다ㅎㅎ

 

제가 쓰는 스피커의경우 순정 어댑터 출력을 보니까 스피커 출력에 한참 못미치더라구여

그래서 사제어댑터를 구매해볼까 고민중입니다. 흠.. 근데 오버클럭해서 항상 빠른 메인보드 고장을 몇차례 겪어봐서 그런지 전용 어댑터 이외 사제어댑터 구매는 사실 꺼려지기는 합니다. 그래도 욕심은 납니다 이건 오버클럭이 아니라 입력대비 출력의 싱크로율을 칼입력 칼출력(동률)이 아닌 스피커 최대 출력보다는 약간 못미치는 선으로 생각중이거든요 ㅎ

만에 하나 음질부분에서 차이가 나기라도 한다면 안할이유는 없겠지만 고민이 됩니다. 이유가 있기때문에 어댑터 출력을 스피커 최대 출력보다 한참 못미치게 설계 했을 수 도 있기 때문이죠. 구매자가 오인페에 관심을 가지고 돈을 투자하게 만들려는 제조사의 의도일 수도 있겠지만요. 제가 네이버 블로그도 하는데 거기 댓글다신분과 대화를 나누었는데 스피커 구매한곳에 물어보니 그냥 높은거 (그래봤자 스피커 최대출력보다 낮은 어댑터 출력) 사면 된다고 그러더래요.

그래도 고민이 됩니다.ㅋㅋ https://blog.naver.com/zyyh4z/221831704042

 

그리고 흔히들 착각하기 쉬운게 오디오 인터페이스라고 하면 외장형을 떠올릴텐데

컴퓨터 메인보드 안에도 오인페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구분되는거죠 이런 기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어쨋든 스피커+외장오인페+메인보드 오인페 이렇게 삼박자가 맞아야 좋은 소리를 낼수 있습니다.

(실제로 각기다른 노트북들에 제가 쓰는 스피커+dac를 물려보았는데 셋중 하나도 소리가 같지 않더군요.. 다 달랐습니다 두개는 음질이 확실히 별론데 느낌차이가 있었고 하나는 상대적으로 깔끔하더라구여)

 

그리고 전용우퍼가 있다면 우퍼는 바닥에 두시고 (베이스니까 낮은곳에둡니다)

나머지 좌우에 놓을 스피커는 대강 귀높이에 맞추시면 음질이 확 달라짐을 체감하실수 있습니다. (좌우 각도도 조절해서 귀로 바로 오도록 위치를 잡아줍니다.)

2채널 스피커가 우퍼유닛과 트위터 유닛으로 구성되있다면 대강 트위터유닛을 귀높이에 오도록 하시면 되..었었나

우퍼유닛없이 아래유닛이 풀레인지 유닛일경우의 글은 읽어본적 없지만 풀레인지(전영역)이니만큼 트위터유닛보다 풀레인지쪽에 좀더 비중을 두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내외장 가릴거없이 자신이 쓰는 오인페의 snr과 thd는 어느수준인지 검색정도는 해보세요 ㅎ 컴퓨터나 노트북에 쓰인 내장 오인페의 경우 그 종류 따라 수치가 검색되기도 합니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채널 dac에 서브우퍼 연결하기  (0) 2021.09.13
최초의 컴퓨터  (0) 2021.09.01